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땀샘 종류별로 한관종은 다르게 생긴다. 에크린 vs 아포크린 땀샘 비교
    한관종 2025. 7. 17. 14:32

      피부에 오돌토돌 솟아난 한관종을 보며 '대체 이 좁쌀 같은 것의 정체는 무엇일까?'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의학적으로 한관종은 '땀샘에서 기원한 양성 종양'이라고 알려져 있죠. 그런데 우리 몸의 땀샘은 한 종류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기능과 분포, 그리고 분비물 특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특히 크게 에크린 땀샘아포크린 땀샘으로 구분되는데, 과연 한관종은 이 땀샘 종류별로 다르게 생기거나 다른 특징을 보일까요? 오늘은 한관종과 땀샘의 은밀한 관계를 더욱 깊이 파고들어, 땀샘 종류별 특징과 한관종의 연관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땀샘 해부학적 사진

    우리 몸의 두 가지 주요 땀샘: 에크린 땀샘 vs 아포크린 땀샘

      한관종과 땀샘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몸의 두 가지 주요 땀샘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 에크린 땀샘 (Eccrine Gland)의 분포는 우리 몸 전체, 특히 손바닥, 발바닥, 이마, 겨드랑이 등 전신에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그 수도 가장 많습니다. 주로 체온 조절을 담당합니다. 땀을 배출하여 피부 표면의 열을 식히는 역할을 합니다. 무색, 무취의 맑고 투명한 땀(주로 물과 전해질)을 직접 피부 표면으로 분비합니다. 땀 냄새는 거의 나지 않습니다. 활성화 시기는 태어날 때부터 기능하며, 사춘기 이후 성인에게서 활발해집니다.둘째, 아포크린 땀샘 (Apocrine Gland)은 겨드랑이, 사타구니, 유륜(젖꼭지 주변), 배꼽, 외이도 등 특정 부위에 집중적으로 분포합니다. 모낭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체온 조절보다는 스트레스, 흥분 등 감정적인 자극에 반응하여 땀을 분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유빛을 띠는 약간 점성이 있는 액체를 분비합니다. 이 분비물 자체는 무취이지만, 피부 표면의 세균과 만나 분해되면서 특유의 체취(암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활성화 시기로는 사춘기 이후에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한관종, 과연 어떤 땀샘에서 기원할까!

      의학적으로 한관종은 '에크린 땀샘 기원 양성 종양'으로 분류됩니다. 즉, 한관종은 주로 에크린 땀샘의 도관(땀이 피부 밖으로 나가는 통로)을 구성하는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분류는 한관종의 임상적 특징과도 일치합니다. 발생부위는 한관종은 주로 이마, 눈꺼풀, 뺨처럼 에크린 땀샘이 풍부하게 분포하는 얼굴에 흔하게 나타납니다. 에크린 땀샘은 전신에 분포하므로, 한관종이 얼굴 외에 가슴, 복부, 겨드랑이, 심지어 손발바닥 등에도 나타날 수 있다는 점도 에크린 땀샘 기원설을 뒷받침합니다. 한관종 병변을 누르면 간혹 투명한 액체가 나오기도 하는데, 이는 에크린 땀샘의 분비물 특성과 유사합니다.

      그렇다면 아포크린 땀샘에서 기원하는 종양은 없을까요? 아포크린 땀샘에서 기원하는 양성 종양은 별도로 존재하며, 이를 '아포크린 낭선종(Apocrine Hidrocystoma)'이나 '아포크린 선종(Apocrine Adenoma)' 등으로 부릅니다. 이들은 한관종과는 다른 임상적, 조직학적 특징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아포크린 땀샘이 주로 분포하는 겨드랑이나 외음부에 생기며, 크기가 더 크고 낭종(물혹)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특정 호르몬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아 월경 주기에 따라 크기 변화를 보이기도 합니다.

     

    한관종과 땀샘 종류별 이해가 중요한 이유

      한관종이 에크린 땀샘에서 기원한다는 사실을 아는 것은 단순히 의학적 지식을 쌓는 것 이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첫째, 정확한 진단입니다. 유사한 다른 피부 병변(예: 아포크린 낭선종, 비립종, 편평사마귀 등)과의 감별 진단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의학적으로 조직 검사를 통해 땀샘의 어떤 부분에서 기원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의 핵심입니다. 둘째, 치료 전략 수립하기 입니다. 한관종의 원인 조직을 정확히 알면 그에 맞는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레이저 시술 시에도 에크린 땀샘 도관을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레이저 종류와 시술 깊이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셋째, 재발 관리 및 생활 습관입니다. 한관종이 땀샘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은 과도한 땀 분비나 피부 자극이 재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땀을 흘린 후 청결 유지, 피부 자극 최소화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해집니다.

      한관종은 주로 체온 조절과 관련된 에크린 땀샘의 비정상적인 증식으로 발생하는 양성 종양입니다. 이러한 깊이 있는 이해는 한관종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줄이고, 나의 피부에 나타난 문제를 더욱 과학적이고 현명하게 관리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혹시 피부에 땀샘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병변이 있다면, 스스로 판단하기보다는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치료 방향을 모색하시길 바랍니다. 우리 몸의 작은 부분까지도 이해하려는 노력이 건강한 피부를 만드는 첫걸음입니다.

Designed by Tistory.